“2017년부터 2020년까지 연방정부의 무관심 속에서 도시와 주(州), 기업 그리고 대중이 미국의 기후협약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고, 이제 우리는 다시 그 일을 할 준비가 됐다.”
억만장자라고 하죠.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파리기후협약 탈퇴 결정에 대한 대타로 나섰습니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UNFCCC)에 대한 분담금을 대신 내겠다고 밝힌 건데요. 그의 이런 결단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고 합니다.
블룸버그가 미국 분담금 대신 내겠다는 이유
1. 미국은 세계 최대 경제 대국으로서 UNFCCC 예산의 약 22%를 담당해왔으며, 이는 다른 회원국들보다 훨씬 큰 비중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파리기후협약에서 탈퇴하고 재정 지원을 중단하면서 미국의 국제적 신뢰도와 리더십이 약화될 우려가 있었는데 블룸버그가 등판한거죠. 2024~2025년 사무국 예상 운영비가 9650만 달러(약 1400억 원)니까 블룸버그 재단이 약 2123만 달러(약 306억 원) 대신 납부하겠다는 겁니다.
2. 블룸버그는 유엔 기후 야망 및 솔루션 특별대사로 활동하며, 기후 변화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쏟은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2017년 트럼프 행정부의 첫 번째 파리협약 탈퇴 당시에도 약 1500만 달러를 기부하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재정 공백을 메운 적이 있어요. 이번 두 번째 탈퇴 선언 후에도 그는 유사한 행동을 취하며 미국이 국제적인 기후 목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3. 그는 이미 'America Is All In'과 같은 연합체를 통해 주(州), 도시, 기업 등 비연방 주체들이 미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실제 그는 COP23 이후 미국 클라이밋 액션 파빌리온(U.S. Climate Action Pavilion)을 설립해 비연방 주체들의 노력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 이들의 기여를 통해 파리협약 목표를 향한 진전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이는 연방 정부의 부재 속에서도 미국이 파리협약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4. 이런 노력들이 모여 기후 변화 대응이 단순히 환경 보호를 넘어 경제적 성장과 공공 건강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그의 재정 지원은 클린 에너지 전환과 탄소 배출 감소를 통해 장기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블룸버그 결정에 대한 반응은?
1. 당연히 국제 사회는 블룸버그의 행동을 대체로 환영하고 있습니다. UNFCCC 사무총장 사이먼 스티엘(Simon Stiell)은 그의 기여가 "저탄소 및 회복력 있는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지원"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파리협약 설계자인 로랑스 투비아나(Laurence Tubiana)는 블룸버그의 지원이 "기후 변화라는 시대적 도전에 대해 협력을 지속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고 언급했습니다.
2. 트럼프 행정부의 결정은 국내외적으로 비판을 받았지만, 블룸버그와 같은 개인 및 단체들의 대응은 미국 내에서 기후 변화 대응 의지를 유지하려는 움직임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특히 주와 도시 차원의 노력은 연방 정부 부재 상황에서도 미국의 국제적 신뢰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이번 블룸버그의 재정 지원은 UNFCCC가 COP30과 같은 주요 국제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회원국들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개발도상국들이 기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합니다.
국제적 신뢰와 모범 사례 제공
블룸버그의 결정은 단순한 재정 지원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는 미국 내외에서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리더십 공백을 메우고, 글로벌 차원에서 협력을 촉진하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입니다. 그의 행동은 단순히 미국 내 문제 해결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책임감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과 독일 같은 다른 주요 국가들이 자발적으로 UNFCCC 예산에 추가 기여를 하도록 유도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네요.
'기후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 7일 배송, 택배 노동자는 물론 환경에도 나쁘다? (0) | 2025.01.25 |
---|---|
7년이나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에서 누락된 곳 어디? (0) | 2025.01.25 |
어라 종이빨대? 이 커피숍은 왜 플라스틱빨대 안주지? (0) | 2025.01.25 |
열심히 분리수거한 폐알루미늄캔, 재활용 제대로 안되고 있다고? (0) | 2025.01.24 |
올 여름 역대급 폭염 또 올까요 (0) | 2025.01.23 |
기후변화에 국내 연안서 명태·도루묵 자취 감출까 (0) | 2025.01.22 |
트럼프 2기 행정부, '파리기후협약' 재탈퇴하며 출범 (0) | 2025.01.21 |
초대형 LA 산불에 국내 보험사들도 긴장 모드 (0) | 2025.01.20 |